2025년 최신 테니스 규칙을 쉽고 자세하게 정리했습니다. 포인트, 게임, 세트, 매치부터 타이브레이크, 서브 폴트까지 초보자도 완벽 이해 가능한 가이드입니다.

테니스-규칙

테니스는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로, 매년 다양한 대회가 열리며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점수 체계와 다양한 경기 규칙 때문에 초보자는 쉽게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2025년 최신 테니스 규칙을 단계별로 쉽게 풀어 설명해 테니스 팬이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 글 하나로 테니스 경기를 보는 즐거움과 이해도를 높여보세요!


1. 테니스 경기 구성과 기본 규칙 

테니스 경기는 크게 단식, 복식, 혼합복식 세 가지로 나뉘며, 각각 2명 또는 4명이 상대방과 경기를 펼칩니다. 경기는 포인트, 게임, 세트, 매치의 4단계로 진행되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포인트(Point): 가장 작은 점수 단위로, 0점은 ‘러브(love)’, 1점은 ‘15’, 2점은 ‘30’, 3점은 ‘40’으로 표기합니다.
  • 게임(Game): 4포인트를 먼저 획득하면 한 게임을 이기며, 단 40:40 듀스 상황에서는 2포인트 연속 획득이 필요합니다.
  • 세트(Set): 보통 6게임을 먼저 따면 한 세트를 승리합니다. 단, 5:5일 경우 2게임 차이, 6:6일 경우 타이브레이크가 적용됩니다.
  • 매치(Match): 정해진 세트 수 중 먼저 승리한 선수가 최종 승자가 됩니다. 대회마다 다르지만, 보통 남자 단식은 5세트 중 3세트, 여자 단식과 혼합복식은 3세트 중 2세트를 먼저 따야 합니다.

구성 단위 승리 조건 설명
포인트 1점씩 획득 0, 15, 30, 40 점수 체계 사용
게임 4포인트 선취 (듀스 적용) 1게임 획득
세트 6게임 선취 (타이브레이크 적용) 1세트 획득
매치 정해진 세트 수 선취 경기 최종 승자 결정

테니스 경기는 이처럼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승리 조건을 충족해야 최종적으로 경기를 이길 수 있습니다. 특히 듀스와 타이브레이크 룰은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므로 반드시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듀스, 어드밴티지, 타이브레이크 규칙 

테니스 점수 체계에서 가장 헷갈리는 부분은 바로 듀스, 어드밴티지, 그리고 타이브레이크 규칙입니다.

  • 듀스(Deuce): 양 선수가 모두 3포인트(40점)를 획득하여 40:40이 되면 듀스 상태가 됩니다. 이때는 한 선수가 2포인트를 연속으로 따야 게임을 승리할 수 있습니다.
  • 어드밴티지(Advantage): 듀스 상황에서 한 점을 먼저 따면 ‘어드밴티지 인(Advantage In)’ 또는 ‘어드밴티지 아웃(Advantage Out)’ 상태가 됩니다. 여기서 한 점 더 따면 게임 승리, 상대가 점수를 따면 다시 듀스로 돌아갑니다.
  • 타이브레이크(Tiebreak): 세트 스코어가 6:6일 때 실시하는 룰로, 경기 시간을 줄이고 체력 부담을 낮추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타이브레이크의 주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 12포인트 중 7포인트를 먼저 획득하면 세트 승리.
  • 2점 차가 나야 승리로 인정.
  • 점수 합이 6 또는 6의 배수일 때 코트를 교체.
  • 서브는 첫 포인트 후 상대에게 넘어가며, 이후 2포인트씩 교대.

타이브레이크는 경기의 박진감을 더하면서도 경기 진행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룰입니다. 프로 경기뿐 아니라 동호인 대회에서도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니 꼭 숙지하세요.


3. 서브 규칙과 폴트 상황 

서브는 테니스 경기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경기는 서브로 시작합니다. 서브 규칙과 폴트 상황을 잘 이해하는 것이 경기 승패에 큰 영향을 줍니다.

  • 서브 위치: 서브는 베이스라인 뒤, 센터 마크와 사이드라인 안쪽에서 대각선 서비스 박스 안으로 넣어야 합니다.
  • 서브 방향: 첫 포인트는 오른쪽에서 시작하여 대각선으로 넣으며, 이후 홀수 점수는 왼쪽에서, 짝수 점수는 오른쪽에서 서브합니다.
  • 폴트(Fault): 서브가 서비스 박스에 들어가지 않거나 발이 베이스라인 혹은 선을 밟을 경우, 또는 서브 시 규칙을 어긴 경우입니다. 폴트가 2회 연속 발생하면 ‘더블폴트’로 상대에게 점수가 넘어갑니다.
  • 렛(Let): 서브가 네트를 맞고도 서비스 박스에 들어가면 ‘렛’으로 간주해 다시 서브할 수 있습니다.

서브에 실패하면 점수를 잃을 위험이 있으므로, 선수들은 집중해서 서브를 넣어야 하며, 특히 풋폴트에 주의해야 합니다. 프로 경기에서는 폴트가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경기 전략상 서브 실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4. 점수 부르는 법과 경기 진행 팁 

테니스 점수 부르는 법은 경기 이해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점수를 부를 때는 서버의 점수를 먼저, 그 다음 리시버 점수를 말합니다.

  • 0점은 ‘러브(Love)’, 15점은 ‘피프틴(Fifteen)’, 30점은 ‘서티(Thirty)’, 40점은 ‘포티(Forty)’라고 부릅니다.
  • 점수가 같으면 ‘올(All)’을 붙여 ‘15 올’, ‘30 올’ 등으로 부릅니다.
  • 40:40 듀스에서는 ‘어드밴티지(Advantage)’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 한 게임이 끝나면 코트를 교대하며, 홀수 게임이 끝난 뒤 ‘엔드 체인지’가 이루어집니다.

경기 진행 팁

  • 경기 시작 전 토스나 가위바위보로 서브권과 엔드를 결정합니다.
  • 서브권은 각 게임마다 교체되며, 타이브레이크에서는 2점마다 서브권이 바뀝니다.
  • 경기 도중에는 라인 판정 및 챌린지 사용법을 숙지해 전략적으로 활용하세요.


5. 네트 규칙과 라인 판정

네트와 라인 판정은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으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네트 규칙

  • 플레이어의 몸이나 라켓이 네트에 닿으면 실점 또는 반칙이 될 수 있습니다.
  • 공은 반드시 네트를 넘어 상대 코트 안에 들어와야 하며, 네트를 맞고 들어가면 유효 판정됩니다.
  • 서브 시 공이 네트를 맞고 서비스 박스에 들어가면 ‘렛’으로 다시 서브합니다.
  • 네트를 넘어 상대 코트에 몸이나 장비가 닿는 것은 금지됩니다.

라인 판정

  • 라인즈맨과 주심이 공이 인(내)인지 아웃(밖)인지 판단합니다.
  • 2006년부터 도입된 비디오 판독 시스템 ‘호크아이’를 통해 판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선수는 세트당 3회의 챌린지를 신청할 수 있으며, 판정이 뒤집히면 챌린지 횟수가 차감되지 않습니다.

라인 판정에 대한 이해와 챌린지 전략은 경기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초보자라면 기본적인 네트 규칙과 라인 판정을 익혀 경기 중 혼란을 줄이세요.

추가 팁: 테니스 경기 완전 정복을 위한 핵심 노하우

  • 서브와 리턴 연습에 집중해 경기 초반 분위기를 잡으세요.
  • 듀스와 타이브레이크 상황에서 집중력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경기 중 코트 교대와 점수 부르는 타이밍을 잘 기억해 흐름을 유지하세요.
  • 프로 경기에서 사용되는 챌린지를 적절히 활용해 불리한 판정을 정정할 수 있습니다.
  • 라인 판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 경기 중 스트레스를 줄이고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FAQ

Q1. 테니스에서 ‘러브(Love)’ 점수는 어떻게 유래되었나요?

A1. 러브는 점수 0을 뜻하는 용어로, 프랑스어 ‘알(l’oeuf)’에서 유래했습니다. ‘알’이 ‘0’ 모양과 비슷해 점수를 0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Q2. 듀스 상황에서 어드밴티지를 먼저 따면 꼭 이기나요?

A2. 아닙니다. 어드밴티지를 가진 선수가 다음 점수도 따야 게임에서 승리합니다. 상대가 점수를 따면 다시 듀스로 돌아갑니다.

Q3. 타이브레이크는 모든 테니스 대회에서 실시하나요?

A3. 주요 메이저 대회(US오픈, 호주오픈, 윔블던, 프랑스오픈) 모두 타이브레이크를 도입했으며, 대회별로 타이브레이크 방식이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